Tech notes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Tech notes

메뉴 리스트

  • 홈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155)
    • 블로그 운영 기록 (11)
    • IT (82)
      • R (3)
      • C (6)
      • Linux>Shell (14)
      • Database (7)
      • Javascript (28)
      • HTML+CSS (5)
      • 스터디 (19)
    • 기타 (38)
      • Tips (11)
      • Review (6)
      • Math (1)
      • Money (20)
    • 日本語 (24)
      • JLPTN1(上) (13)
      • JLPTN1(下) (8)
      • 비지니스일본어 (3)

검색 레이어

Tech notes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자바스크립트 Async VS Defer 차이점

✅ SCRIPT HTML은 코드 실행 중에 또, 한 스크립트가 다른 스크립트에 의존하고 있다면 순차적으로 연결된 스크립트를 실행하기 때문에, HTML 코드를 실행하기 까지 기다리는 시간은 더 길어질 것이다. 💡 만약 이 경우엔 브라우저가 HTML 코드 읽어오는 걸 마치고 → 자바스크립트 파일을 다운 → 자바스크립트를 실행한다. HTML이 로드 될 때까지 기다리지 않아도 되지만, 자바스크립트에 의존적인 코드라면 정상적인 웹페이지를 보기까지 많은 시간이 걸린다는 문제가 있다. 결국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게 Async와 Defer이다. 이 둘은 브라우저가 HTML 코드를 읽는 작업(parsing)과 자바스크립트 파일을 다운받는 과정을 동시 병렬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앞으로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

IT/Javascript 2021. 1. 18. 10:43

CSS 색상 속성 정리 / 투명도 설정

CSS Color 관련 속성들과 색상값에 대해 간단히 정리해봤습니다. 먼저 디자인 측면에서 color는 Foreground color(전경색)와 Background color(배경색)으로 구분한다. 사실 디자인적으로 저 두가지가 어떤 차이를 갖는지는 잘 모르지만, 전자가 폰트색을 후자가 배경색을 설정한다는 건 안다. 폰트 색 설정 : color 배경 색 설정 : background-color css style 안에서 color 속성을 만든 후, 이제 어떤 색상으로 디자인할 것인지를 정해야한다. 색상값을 주는 방법은 크게 아래 세가지가 있다. Named Colors : CSS에서 정한 색상의 이름을 사용하는 것이다. (Red,Blue 같은) 단 이경우 수가 147개로 매우 한정되어있다. (링크) HTML ..

IT/HTML+CSS 2021. 1. 13. 16:27

머신러닝야학 7일차 : Tensorflow.js 알아보기

Tensorflow (Javascript) - 뉴럴 네트워크 = 인공신경망 = 딥러닝 : 사람이 생각하는 방식을 기계가 모방하도록 한 알고리즘 - 텐서플로는 딥러닝 라이브러리 중 하나 - 자바스크립트가 작동하는 환경에서 작동함 (웹브라우저, 노드js) - 특별한 설치가 필요없고 사용자 컴퓨터를 이용한단 점에서 이득 딥러닝 라이브러리에는 ConvNetJS, Brain.js, PyTorch 등이 있고 지도학습 중 회귀, 분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쓸 수 있는 알고리즘에는 Decision Tree(의사 결정 나무), 랜덤 포레스트, KNN(k-최근접 이웃), SVM(서포트 벡터 머신), 뉴럴 네트워크(=딥러닝)가 있다. 인공지능(AI)와 머신러닝, 딥러닝은 다 별개의 것들이며 AI를 구현하는 방법이 머신러닝이..

IT/스터디 2021. 1. 11. 20:29

머신러닝야학 2기 6일차 : 머신러닝 1 완강!

나에게 필요한 머신러닝을 찾는 방법 위 지도를 따라가면 어떤 방법을 써야할지 알 수 있다. 하지만 수업에서 다룬 몇몇 방법만 소개하고 있기 때문에 현실의 모든 경우를 커버하지는 못한다. 지도를 보고 있으니 강화학습만 과거의 데이터를 이용하는 게 아니란 점이 눈에 띈다. 수업을 마치며 어떤 부품이 어디에 필요한 지 아는 것 만으로 당신은 그 분야의 전문가가 된 것이다. 얼핏보면 비약이 심한 게 아닌가 싶기도 하지만 각 개념들이 어디에 쓰이는 지 아는 건 정말 중요하다. 어떤 방법을 써야하는 지 알고 있다면 그것을 실행으로 옮기는 것은 차차 공부해도 되기 때문이다. (아니면 다른 전문가에게 부탁해도 되고) 내가 이 수업을 듣게 된 건 기회가 온다면 놓치고 싶지 않아서이다. 현재는 웹 개발자를 목표로 공부하고..

IT/스터디 2021. 1. 9. 18:54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4 5 6 ··· 21
다음
TISTORY
Tech notes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