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notes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Tech notes

메뉴 리스트

  • 홈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155)
    • 블로그 운영 기록 (11)
    • IT (82)
      • R (3)
      • C (6)
      • Linux>Shell (14)
      • Database (7)
      • Javascript (28)
      • HTML+CSS (5)
      • 스터디 (19)
    • 기타 (38)
      • Tips (11)
      • Review (6)
      • Math (1)
      • Money (20)
    • 日本語 (24)
      • JLPTN1(上) (13)
      • JLPTN1(下) (8)
      • 비지니스일본어 (3)

검색 레이어

Tech notes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자바스크립트의 시작 : Javascript 제어문

2. Javascript 제어문 HTML Javsacript 비교 둘 다 컴퓨터 언어이지만 Javascript는 프로그래밍 언어이기도 함 프로그램에는 순서라는 의미가 있음. HTML은 정적이기 때문에 순서대로 움직일 필요가 없지만 자바스크립트는 사용자와 상호작용하기 위해 순서대로 실행될 필요가 있음. 따라서 프로그래밍 언어라고 불리는 것. 비교 연산자와 불리언 비교 연산자 === : 좌우 값이 같은지 판단함 document.write(1===1); 라고 쓰면 True가 출력되는데 이 True를 불리언(Boolean) 데이터 타입이라고 함 document.write(1===2); 는 False가 출력될 것임. 불리언 값은 True와 False 두가지만 존재함. document.write(1

IT/Javascript 2020. 9. 8. 17:19

부스트코딩 뉴비챌린지 스터디 5주차 : 메모리와 문자열

3) 문자열 문자열을 저장하는 방법 중 하나는 char포인터를 사용하는 것이다. (char배열을 이용할 수도 있음) char포인터를 사용해 문자열을 선언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아래 그림과 같이 문자열은 배열의 구조를 가지고 포인터 변수 str은 첫번째 배열의 주소를 가리킨다. (포인터 변수는 주소를 담고 있다는 것을 기억하자) 주의할 점은 "cs50"이라는 문자열 자체도 문자열이 시작하는 주소를 가리킨다는 것이다. 이는 배열의 이름이 배열이 시작하는 주소를 가리키는 것과 같은 원리이다. 그래서 %p 변환자로 출력하면 위와 같이 주솟값이 나온다. str은 문자열의 주솟값을 담고있으니 당연히 주솟값을 출력한다. 여기서 포인터 변수 str이 어떻게 저장된 주소와 가리키는 변수의 값을 둘 다 출력할 수 있는..

IT/스터디 2020. 9. 7. 17:19

자바스크립트의 시작 : 웹과 Javascript

1. 웹과 Javascript 처음등장한 웹은 HTML만을 사용한 형태 -> 사용자와 상호작용 하기 위해 Javascript를 사용한 웹이 등장 (정적인 웹에서 동적인 웹으로) 📣정리 : Javascript는 사용자와 상호작용하는 언어이다 script 태그 html 문서에서 태그 안에 작성한 코드는 웹이 자바스크립트로 인식한다. html은 정적이다. 1+1을 적으면 화면에 그대로 출력하는 모습. 반면, 자바스크립트는 동적으로 계산기처럼 움직이기도 한다. html과 달리 1+1을 적으면 2로 출력함. 이벤트 = 웹브라우저 상에서 일어나는 사건 ex) 사용자의 클릭(onclick), 내용 변경(onchange), 키 입력(onkeydown) 💡onchange는 입력 후 입력창 바깥쪽을 클릭했을 때 기준으로 ..

IT/Javascript 2020. 9. 7. 17:15

부스트코딩 뉴비챌린지 스터디 5주차 : 메모리, 포인터

1) 메모리 주소 16진법 (Hexadecimal) 컴퓨터과학에서는 16진법을 사용해서 적는 경우가 많다. 0 1 2 3 4 5 6 7 8 9 A B C D E F 16진수는 위의 숫자와 문자들을 사용해서 나타낸다. 0부터 9까지는 10진법으로 나타냈을 때와 동일하지만 10이상부터 표기가 달라진다. 10진법 8 9 10 11 12 13 14 15 16 16진법 0 8 0 9 0 A 0 B 0 C 0 D 0 E 0 F 1 0 10진법 17 18 19 20 21 22 23 24 25 16진법 1 1 1 2 1 3 1 4 1 5 1 6 1 7 1 8 1 9 RGB 표기에도 16진법이 쓰인다. 각 RGB가 나타낼 수 있는 값의 범위인 0~255를 16진법으로 표기하면 0~FF이다. 10진수와 헷갈리지 않게 16..

IT/스터디 2020. 9. 6. 23:12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TISTORY
Tech notes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