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스트코딩 뉴비챌린지 스터디 5주차 : 메모리 할당 malloc
6) 메모리 할당과 해제 💡 메모리 할당이란? 메모리의 일부분을 가져와서 그곳을 가리키는 포인터를 주는 것. malloc 함수는 할당한 메모리의 첫 바이트 주소를 반환한다. ※ 메모리의 동적 할당에는 malloc 함수가 필요하다 (배열의 크기를 입력받는 프로그램 등) ※ 헤더파일을 추가해줘야 함 💡 free 할당한 메모리를 반환한다. 컴퓨터의 메모리가 바닥나기 전에 사용하지 않는 메모리는 해제해주는 게 좋다. 💡 메모리 누수 malloc으로 메모리를 할당받은 후 해제하지 않으면 메모리에 저장된 값은 쓰레기 값으로 남게 된다. 이런 메모리 용량의 낭비를 메모리 누수라고 한다. 💡 디버깅도구 valgrind 메모리 누수를 찾기 위해 필요한 도구. #include #include #include int mai..
IT/스터디
2020. 9. 10. 2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