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notes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Tech notes

메뉴 리스트

  • 홈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155)
    • 블로그 운영 기록 (11)
    • IT (82)
      • R (3)
      • C (6)
      • Linux>Shell (14)
      • Database (7)
      • Javascript (28)
      • HTML+CSS (5)
      • 스터디 (19)
    • 기타 (38)
      • Tips (11)
      • Review (6)
      • Math (1)
      • Money (20)
    • 日本語 (24)
      • JLPTN1(上) (13)
      • JLPTN1(下) (8)
      • 비지니스일본어 (3)

검색 레이어

Tech notes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VSCode 에러 type parameter declarations can only be used in typescript files

자바스크립트 문서 작성 중 난데없이 타입스크립트 어쩌구 하는 에러가 떠서 내가 뭘 잘못했는지 한참 고민중이었는데 다행히도 금방 해결했다. 이런 시스템적 에러가 코딩중 제일 당황스럽다. 이 에러의 해결법은 VSCode 에서 built in 익스텐션을 비활성화 시키는 것이다. 익스텐션 검색창에 들어가서 @builtin typescript라고 검색해서 위 익스텐션을 찾는다. 왼쪽에 작은 톱니바퀴 모양을 누르면 Disable (Workspace) 라고 비활성화 버튼이 나온다. 클릭하고 한번 재부팅하면 에러 해결!

IT/Linux>Shell 2020. 12. 7. 15:46

데이터베이스 인덱스, 필드, 페치, 데이터페이지 용어 뜻 메모

공부하다가 용어들 뜻을 모르겠어서 구글링으로 찾아봄 인덱스 관련해선 이 글이 정리가 잘되어있음 출처: https://dodo000.tistory.com/22 [이것저것 남겨두는 블로그] 12. 데이터베이스 순차접근(Full Table Scan)과 인덱스(Index) 1. 순차접근(Full Table Scan) 데이터베이스의 한 릴레이션에서 데이터를 찾거나 재배열하기 위해 데이터가 저장된 목록 중의 모든 데이터 요소를 차례차례 조사하여 원하는 것을 찾아내는 것을 dodo000.tistory.com 필드(field)는 레코드에 담긴 하나의 정보 조각. 즉, 필드가 모여서 레코드가된다. 페치(fetch)는 데이터에서 행을 얻어오는 것. 데이터페이지(datapage)는 웹 인터페이스이다. 📚Reference -..

IT/Database 2020. 12. 7. 11:50

C언어 텍스트, 바이너리 파일 읽기 쓰기

1. 텍스트 파일 읽는 법 먼저 불러들일 텍스트 파일 input.txt에는 숫자 세개가 적혀있다. 이제 C언어로 파일을 읽어 이 숫자들을 변수에 저장할 것이다. 컴파일후 실행할 때 ./a.out input.txt 을 입력하면 정상적으로 실행 된다. (input.txt자리에 읽을 파일 이름 쓰기) 💡 부연 설명 - 커맨드에 입력한 파일 이름은 argv[1]에 저장됨 (argv 배열에는 커맨드라인에 입력한 내용이 띄어쓰기로 구분되어 담긴다) - fopen 함수는 파일을 여는 기능 / "r" : 파일 읽기 모드 - 변수 fp에 파일을 가리키는 포인터가 저장됨 - fscanf 함수는 파일에 있는 내용을 주어진 변수에 저장함. 이 경우 텍스트에 적힌 숫자 세개를 각 변수 num1, num2, num3에 저장함 -..

IT/C 2020. 12. 2. 21:56

[DB기초] ER모델과 개체, 관계 개념 설명

E-R모델 (entity-realationship model ; 개체 관련 모델) 💡 데이터 모델링의 3단계 : 실세계 → 개념 모델(conceputal model) → 논리 모델(logical model) 여기서 실세계를 개념 모델로 만드는 과정을 기호화라고 하는데, 기호화의 한 방법이 E-R모델이다. 이렇게 개념 모델을 만들어 두고 DBMS에서 관리가능한 형태로 한번 더 변환하여 논리 모델을 만든다. 💡 바로 논리 모델을 만들지 않고 개념 모델을 만드는 이유 논리 모델의 세부 사항에 좌우되지 않고 실세계의 정보 구조를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음 개념 모델을 구축해두면 후에 다른 논리 모델이 필요해져도 변환이 쉽다 기호화 하는데 객체 지향 모델링 언어 UML(Unifield Modeling Languag..

IT/Database 2020. 11. 28. 16:24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 5 6 7 8 9 10 11 ··· 21
다음
TISTORY
Tech notes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