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notes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Tech notes

메뉴 리스트

  • 홈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155)
    • 블로그 운영 기록 (11)
    • IT (82)
      • R (3)
      • C (6)
      • Linux>Shell (14)
      • Database (7)
      • Javascript (28)
      • HTML+CSS (5)
      • 스터디 (19)
    • 기타 (38)
      • Tips (11)
      • Review (6)
      • Math (1)
      • Money (20)
    • 日本語 (24)
      • JLPTN1(上) (13)
      • JLPTN1(下) (8)
      • 비지니스일본어 (3)

검색 레이어

Tech notes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배쉬란 무엇인가? 기본 명령어 정리

배쉬란 무엇인가? 배쉬는 Brain Fox가 Bourne Shell 대신 개발한 CLI로써 오픈소스이다. 쉘(shell)은 CLI의 한 종류. - CLIs : 커맨드 라인 인터페이스 (Command Line Interfaces) - 배쉬(Bash) : Bourne-Again SHell 리눅스와 맥에서는 Bash가 기본 쉘이다. 터미널을 사용해 배쉬에 접근할 수 있다. 윈도우는 커맨드 프롬프트 (Command Prompt)라는 다른 CLI를 갖고 있다. 윈도우에서 배쉬를 쓰려면 Git Bash라는 프로그램을 설치하면 된다. Git Bash는 윈도우 환경에서 배쉬와 깃 둘 다 쓸 수 있게 해준다. 아래 링크에서 깃 배쉬를 다운할 수 있다. https://gitforwindows.org/ Git for Win..

IT/Linux>Shell 2020. 11. 16. 15:06

Git 버전관리의 시작, 기본 커맨드 정리

Git 버전관리의 시작 ✨ 먼저, 깃은 버전 관리 시스템의 일종입니다. 이렇게 말하면 버전관리가 무엇이냐? 하는 의문이 당연히 따라오겠죠. 예를 들어, 우리가 어떤 코드를 작성하고 있다고 가정해봅시다. 작성 중 일단 오늘은 여기까지 하자 싶어서 저장을 합니다. 그러고 다음날 봤더니 코드에 수정할 게 좀 보입니다. 그런데 괜히 잘못 건드려서 프로그램 전체를 망칠 수도 있는 거잖아요? 그래서 원본 파일을 복사하고 안전하게 복사본으로 편집을 합니다. 수정한 코드가 제대로 돌아가는 것 같으면 원본에 합칩니다. 이 예시에서 우리의 컴퓨터에는 원본과 복사본이라는 두 개의 파일, 즉 두 가지 버전이 존재하게 됩니다. 이게 일반적인 방식으로 버전을 관리하는 방법이죠. 여기서 버전 관리 시스템, 즉 깃Git을 이용하면 ..

IT/Linux>Shell 2020. 6. 10. 16:13

리눅스 Linux 명령어 cd 에 대해 알아두면 좋은 것들

2020/06/01 - [Programming/여러가지] - 초보자를 위한 리눅스 Linux 명령어 지난 포스팅에 이어서 명령어 cd의 사용법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알아봅시다. 1. 이전에 작업하고 있던 디렉토리로 돌아가기 $ cd - 2. 상위 폴더(parent folder)로 이동하기 $ cd .. 두 개 이상의 상위 폴더로 이동하는 경우 $ cd ../ ../ 3. 홈 디렉토리로 돌아가는 법 아주 간단합니다. 그저 cd만 입력하면 됩니다. $ cd 혹은 아래와 같은 표현도 가능합니다. $ cd ~ 이를 이용해서 홈디렉토리가 포함된 경로를 쓸 때 $ cd ~/Downloads 같이 쓰는 것도 가능합니다. 3. 디렉토리명에 스페이스가 포함된 경우 예를 들어 folder name이라는 디렉토리로 이동..

IT/Linux>Shell 2020. 6. 2. 14:05

초보자를 위한 리눅스 Linux 명령어

1. 현재 작업중인 디텍토리 확인 pwd = present working directory $ pwd 현재 위치한 디렉토리의 경로를 표시합니다. 2. ls 명령어 $ ls : 현 디렉토리에 존재하는 폴더, 파일 등을 표시 $ ls -l : (소문자 엘) 위의 내용을 좀더 상세히 표시함 3. 각 명령어의 매뉴얼 확인하기 man = manual의 약자 예를 들어 명령어 ls의 매뉴얼을 보고 싶을 때는 아래와 같이 입력하면 됩니다. $ man ls 그러면 이런 설명 창이 나옵니다. ls 는 디렉토리 콘텐츠를 나열한다고 설명이 되어있고, 아래 파랑칸으로 표시한 부분이 이 명령어의 옵션입니다. ls -a 와 같이 명령어 뒤에 한칸 띄우고 사용가능합니다. 커맨드를 좀더 응용해서 쓰고 싶을 때 매뉴얼을 찾아보면 유용..

IT/Linux>Shell 2020. 6. 1. 13:52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4
다음
TISTORY
Tech notes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